혁신신약살롱


‘혁신신약살롱’은 2012년 신약개발에 관심있는 몇몇 연구원들의 모임으로 출발하였다. 당시 한국의 바이오 산업은 기존의 개량신약, 바이오시밀러에서 혁신신약 개발로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기존의 fast-follower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혁신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종래의 top-down, silo식 연구개발 문화부터 ‘다양한 전문가들과의 느슨한 교류를 통한 open innovation 방식’으로 바꾸어야 하며, 이러한 공감대가 ‘혁신신약살롱’의 기틀로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혁신신약살롱'은 '혁신신약'을 주제로 국내외 연사들의 세미나를 듣고 의견을 나누었으며, 신약개발에 대한 열정과 교류에 대한 갈증으로 모임은 뒷풀이에서의 더 심도있는 토론으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7년여 간 다양한 소속과 배경의 전문가들이 자발적인 참여와 교류를 해 오면서, 혁신신약살롱은 이제 다섯개 도시에서 정기 오프라인 모임이 열리고 4천명 이상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토론하는 규모로 확대되었으며, 창업, 공동연구, 투자 연계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정부 주도, 특정 기업 주도의 조직이나 단발성 행사와 달리 자발적, 독립적, 비상업적인 순수 민간 주도 모임인 혁신신약살롱은, 혁신신약개발의 불모지였던 한국에서 출발해, 혁신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혁신적인 연구개발 문화의 저변을 넓혀 가고자 한다. 


프랑스어로 ‘방’을 뜻하는 ‘살롱’은 18~19세기 프랑스 예술가와 지성인들의 사교 장소를 의미한다. 당시 살롱을 출입하던 이들은 남녀노소, 신분·직위에 상관없이 평등하게 대화하고 토론했다. 출신이나 소속, 심지어는 이름이나 나이보다도 각자의 생각과 취향을 더 중히 여겼다.
— “대화가 필요해” 요즘 다시 뜨는 살롱문화, 중앙일보

혁신신약살롱 참가자 예

  • 생명과학 대학원생, 포닥, 교수

  • 생명과학 관련 국책연구원, PI

  • 글로벌/한국 제약사 연구원, 연구소장

  • 혁신신약 투자자

  • 바이오 담당 언론인

  • 혁신신약 사업개발 전문가

  • 연구중심병원 중개연구 연구원, 교수

  • 임상개발 전문가

  • 신약 허가 전문가

  • 혁신신약 벤처 / 제약사 경영진

  • 혁신신약관련 CMO, CRO 종사자

  • 혁신신약 예비 창업자

tumblr_mh1iruZWLf1rkz363o1_1280.jpg

혁신신약살롱 주최자를 "마담" (당시에는 salonnière)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프랑스 살롱이 여성이 주도한 모임이라는 사실을 존중하기 때문이고, 의전이 없는 이유는 수평적인 토론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각 지역의 마담을 소개합니다

이정규 판교판교의 원조 마담. 대전에서 작게 시작한 살롱을 판교에서 크게 키우는데 기여. 국내외 혁신신약계에 네트워크가 굉장이 넓어서 모시기 어려운 연사를 섭외하여 혁신신약살롱 판교를 풍성하게 함. 살롱을 언론에 잘 알리는 역할도 함. 본업은 혁신신약 벤처 창업자겸 대표

이정규 판교

판교의 원조 마담. 대전에서 작게 시작한 살롱을 판교에서 크게 키우는데 기여. 국내외 혁신신약계에 네트워크가 굉장이 넓어서 모시기 어려운 연사를 섭외하여 혁신신약살롱 판교를 풍성하게 함. 살롱을 언론에 잘 알리는 역할도 함. 본업은 혁신신약 벤처 창업자겸 대표

김문정 판교주 활동 무대는 판교이나, 마담 중에서 가장 전국적으로 활동이 활발함. 대전, 판교, 오송, 대구, 송도를 다 다녀본 유일한 마담. 판교 초창기에 장소 및 행사 운영을 후원해서 판교의 발판을 제공. 본업은 바이오 관련된 연구자를 서포트하는 서비스/제품 공급하는 독일계 회사 마케팅 담당

김문정 판교

주 활동 무대는 판교이나, 마담 중에서 가장 전국적으로 활동이 활발함. 대전, 판교, 오송, 대구, 송도를 다 다녀본 유일한 마담. 판교 초창기에 장소 및 행사 운영을 후원해서 판교의 발판을 제공. 본업은 바이오 관련된 연구자를 서포트하는 서비스/제품 공급하는 독일계 회사 마케팅 담당

양재혁 오송판교의 초창기 마담으로 활동. 이후 오송의 병원으로 이직 후, 혁신신약살롱 오송의 원조 마담이 되어 오송에 새로운 바람을 가져옴. 덕분에 대통령 오송 방문시, 혁신신약살롱 형식으로 모셔서 살롱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함. 본업은 화상전문 병원재단의 대외협력실

양재혁 오송

판교의 초창기 마담으로 활동. 이후 오송의 병원으로 이직 후, 혁신신약살롱 오송의 원조 마담이 되어 오송에 새로운 바람을 가져옴. 덕분에 대통령 오송 방문시, 혁신신약살롱 형식으로 모셔서 살롱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함. 본업은 화상전문 병원재단의 대외협력실

 
이승주 대전혁신신약이 혼자 공부해서는 답이 안나올 것 같아 2012년에 혁신신약살롱라는 이름으로 모여서 공부하고 교류하는 모임을 만듬. 살롱이 이렇게 커질 줄은 몰랐음. 주로 페북 그룹등 온라인에서 살롱 활동을 한다. Undruggable target에 관심이 많고, 본업은 혁신신약 벤처 대표

이승주 대전

혁신신약이 혼자 공부해서는 답이 안나올 것 같아 2012년에 혁신신약살롱라는 이름으로 모여서 공부하고 교류하는 모임을 만듬. 살롱이 이렇게 커질 줄은 몰랐음. 주로 페북 그룹등 온라인에서 살롱 활동을 한다. Undruggable target에 관심이 많고, 본업은 혁신신약 벤처 대표

이승우 대전집은 분당이나, 혁신신약살롱 대전이 주 활동 무대. 장소를 섭외하고 동료들과 함께 뒷정리까지 맡아서 함. 의사 출신 마담으로, MD 연사는 대부분 섭외함. 본업은 초기창업투자 엑셀레이터 바이오투자팀. 마담중에 키가 가장 크다

이승우 대전

집은 분당이나, 혁신신약살롱 대전이 주 활동 무대. 장소를 섭외하고 동료들과 함께 뒷정리까지 맡아서 함. 의사 출신 마담으로, MD 연사는 대부분 섭외함. 본업은 초기창업투자 엑셀레이터 바이오투자팀. 마담중에 키가 가장 크다

이성우 대구혁신신약살롱의 돌풍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다 마담을 자청한 후, 2019년 3월 첫 번째 혁신신약살롱 대구 모임을 주최함.영남지역에서도 여러 분야의 신약개발 전문가들이 활발히 소통하는 분위기가 꽃을 피워 살롱의 진정한 전국화가 이루어지길 희망함. 본업은 DGMIF 신약개발지원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암치료제에 관심이 많음.

이성우 대구

혁신신약살롱의 돌풍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다 마담을 자청한 후, 2019년 3월 첫 번째 혁신신약살롱 대구 모임을 주최함.

영남지역에서도 여러 분야의 신약개발 전문가들이 활발히 소통하는 분위기가 꽃을 피워 살롱의 진정한 전국화가 이루어지길 희망함. 본업은 DGMIF 신약개발지원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암치료제에 관심이 많음.

혁신신약살롱은 각 지역사회별로 자발적, 독립적으로 운영됩니다. 각 살롱 별로 장점이 다르며, 원하시는 지역 살롱에 따로 등록 절차 필요없이 자유롭게 참여 하실 수 있습니다. 살롱 별로 커피 몇잔 정도의 소액의 참가비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DJ.istockphoto-486779516-612x612.jpg

혁신신약살롱 대전 (2012-)

한국의 바이오 산업이 개량신약, 바이오시밀러 중심에서 혁신신약 개발로 고도화되면서 기존의 fast-follower 접근법의 한계를 깨닫고, 다양한 외부 전문가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open innovation 및 first mover 방식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니즈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혁신신약살롱'은 이러한 공감대를 가진 대전의 연구원들 모임으로 출발하였다. '혁신신약'을 주제로 국내외 연사들의 세미나를 듣고 의견을 나누었으며, 신약개발에 대한 열정과 교류에 대한 갈증으로 모임은 뒷풀이에서의 더 심도있는 토론으로 이어졌다.

 

A view of Pangyo Techno Valley in Gyeonggi. More than 70,000 tech employees and developers come to work in this region. [JOONGANG ILBO]

A view of Pangyo Techno Valley in Gyeonggi. More than 70,000 tech employees and developers come to work in this region. [JOONGANG ILBO]

혁신신약살롱 판교 (2016-)

대전의 혁신신약살롱이 연구자들 사이에 입소문을 타면서, 2시간 이상 거리를 무릅쓰고 다른 지역에서의 참석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신규 바이오텍과 IT 스타트업들이 많이 위치한 판교에서도 살롱이 시작되어 매달 50여명에서 많게는 180명이 운집하여 새로운 도전을 하는 바이오산업 관련자들에게 공유와 상생을 이끌어내는 생태계 조력자로서 혁신신약살롱의 역할이 자연스럽게 확대되어갔다

 

osong.jpeg

혁신신약살롱 오송 (2019-)

식약처 및 신약개발 관련 기관들이 많이 위치한 오송에서 혁신신약살롱이 시작되었고, 2019년 5월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혁신신약살롱에 방문하여 “바이오신약을 이렇게 민간주도로 논의하는 혁신커뮤니티가 있다는 사실 자체가 참 놀라운 일”이라며 현장의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